-
3gp 컨버터로 핸드폰 동영상(skm파일) 인코딩하기꺼리들/컴퓨터 이야기 2007. 9. 8. 16:00인터넷 검색 보면 잘 나와 있는데 굳이 올릴 필요가 있나 생각해 본다.-------------------------------
뭐. 그냥 몇번 해 보다 실패한 경험도 있고 해서 직접 캡쳐해서 함 만들어 본다.
필요한 분들의 도움이 되길 바라며...
프로그램 설치
1. 통합 코덱 팩을 설치한다. 본인은 z코덱을 설치했다. // 기분좋게 시작하기 위해 기존 것을 싹 지우고 다시 설치하면 좋다.
2. 퀵타임을 설치한다. // 본인은 이놈을 설치 하지 않아 초기에 에러를 많이 맛 봤다. 반드시 깔자. 버전은 6.52 버전 같은 용량이 적은 낮은 버전도 상관없다. 원한다면 다운
3. Avisynth 를 설치한다. // 뭔지는 모르지만 일단 설치..
4. 3GP Converter 를 설치한다. // 주로 3.01 버전일 것이다.
5. 3GP Customizer 2.72 를 설치한다. // 설치후 재부팅해 주면 좋다. 코덱도 깔았으니...
다운 받기 : 코덱과 퀵타임을 제외한 나머지 프로그램들(클럽박스임다)
실행
1. 커스터마이져 세부설정를 먼저 실행한다. // 위치는 아래 그림 참고
커스터마이져 세부설정
2. 아래 그림처럼 설정을 한다.- 1번은 자막 필터의 위치인데, 본인은 z코덱을 깔았기 때문에 z코덱에 위치한 필터를 지정했다. 만약 다른 코덱을 설치 했다면 해당 폴더에서 찾아야 한다.
- 2번은 한번 눌러 주자. // 참고로 2번 위에 있는 Resize 부분과 1차 오디오 인코딩 부분은 다르게 할 수도 있지만 그림대로 설정하면 무리가 없다(추천).
- 3번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그림이 뜬다. 클릭하여 다음으로 넘어 간다.
3. 종료 후 커스터마이져가 실행 되면 ....이제 본격적인 설정에 들어간다.
1. 비디오 비트레이트 설정
256k면 무난하다. 용량과 관계되므로 억지로 고화질을 고집하지 않는다면 150~250 사이에서 무난한 화질로 볼 수 있다. 음질은 128 최고로 놓아도 상관없지만.. 역시 용량에 영향을 준다.
2. 인코딩 세부 설정인데.. 아래 에서 다시 설명하겠다.
3. 디코더 선택
대부분 자막과 같이 넣어야 하므로 Direct Show를 선택하면 된다.
4. 출력형식 설정
본인의 폰은 SKT의 MS800과 R110 두 가지다. 모두 같은 파일을 지원한다. 메뉴를 눌러 해당 폰의 확장자만 정해주면 된다.
5. 프레임 설정인데. 휴대폰 지원 프레임이 최고 15프레임이다. 더 이상 지정해도 휴대폰에서 볼 때는 차이를 못 느낀다. 오히려 과도한 프레임 조절은 휴대폰에 무리를 줄 수 있다.
6. 해상도, 쉽게 말해 사이즈다.
번호가 잘못 가있는데.. 기타 해상도를 눌러 맞춘다.
7. 자막 세부설정
아래에서 다시 한번 설명하겠다.
8. 저장, 설정이 다 되었으면 반드시 Make it을 눌러 설정을 저장한다. 누르지 않으면 매번 설정을 다시해야 하므로 반드시...
4. 그러면 설정은 다 되었다.
그러면 위의 세부설정 중 2번인 인코딩 세부설정을 한번 보자.넘어가도 되는 부분이지만...일단... 박스에 되어 있는 데로 설정하면 된다.
참고로 2번과 3번은 옵션 사항이므로 본인이 원하는데로 하자. 본인은 2번으로 설정했다. 3번의 경우 소리 이득을 주로 50%까지 놓고 설정한다. 4번은 절대 손대면 안된다.
그리고 위의 7번 자막 설정을 한번 보자.
글꼴 설정을 눌러 글꼴을 정한다. 그림 캡쳐가 귀찮아서 걍 설명으로 떼운다. ㅡㅡ;;
글꼴은 시스템 기본 글꼴이 좋다. 굴림이나 돋음체를 추천한다. 크기는 28, 30, 40 중에 고른다. 큰 걸 좋아한다면 40 정도면 된다. 나머지는 옵션..
그리고 화면 탭으로 넘어가서.. 원본크기.. 어쩌고 하는 것을 눌러.. 4:3 검은 화면..으로 정하자. 뭐. 이것도 취향에 따라. 기본으로 해 놓고 봐도 상관은 없다.
5. 설정을 다하면.. 커스터마이져와 함께 실행된 3GP컨버터에 원하는 파일을 끌어다 놓으면 자동으로 인코딩이 된다.
6. 즐긴다. - 끝 -
P1. 혹시 자막이 안나오는 분들은 필터 설정과 글꼴을 기본으로 정해 주길 바란다.
P2. 인코딩 후에 로그에 에러 메세지가 기록되어 나온다. 번호를 잘 보고 프로그램 설치 폴더 안에 있는 설명서의 에러목록에서 자신의 에러 내용을 확인한다.
그래도 모르겠다..면.. 시간을 들여 노가다 하는 수밖에..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 뿌리즈..'꺼리들 > 컴퓨터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팁팁팁! 프린트 스크린(print screen)을 깔끔하게 하는 법 (0) 2007.09.13 Emergency_Undelete / 삭제된 파일 복구 프로그램 (0) 2007.09.13 Unlocker / 지워지지 않는 파일이나 폴더 지우기 (1) 2007.09.08 구글 애드센스에 관한 자료 (0) 2007.09.01 지포스 오버클럭 레지스터(쿨빗/coolbit) (0) 2007.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