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경을 구성하고 있는 4갈래의 전승으로써
자료비평은 성경의 형성사를 파악해나가는 방법이다.
1) 야훼계(J문서)
기원전 950년에서 850년 사이에 기록된 것(혹자는 기원전 10세기 경으로 주장)추정된다.
신을 야훼(Yahweh or Jahweh)라 부르며, 문체는 단순하면서도 박력이 있고 신인 동형론(신이 인격화되어 있다)으로 표현되었다.
이 문서는 주로 창세기와 출애굽기에서 발견된다.
문체는 단순하면서도 박력이 있고 신인 동형론(하나님이 마치 인간처럼 말씀하신점)을 잘 나타내어 주고 있다.
모세의사망기사가 직접 신명기34장1~12절에서 발견된다. 사실 모세가 자기자신의 사망기사를 썻다는것은 이상항한 일이라고 여길수밖에없다. 더우기 신명기34장에 나타난 언어는 분명히 모세가 아닌 다른사람의어법이라고 여겨진다
2) 엘로힘계(E문서)
이 문서도 주로 창세기와 출애굽기에서 발견되는데 야훼문서와는 달리, 언어는 J보다 덜 신인 동형론적으로 신을 인격화하지 않으며,우상숭배를 배격하는 신학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엘리야 시대의 종교적 혼합주의에 대항하여 여호와의 경외사상을 강조한 것이다.
그 예로 창20:1 이하에 아브라함이 그랄왕 아비멜렉을 방문한 기사가 나오는데 여호와의 초자연적인 능력을 보여줌으로서 여호와를 경외하게 한다.
그 외에도 창22:2,출1:17에도 여호와 경외사상이 나온다.
지도자의 역할을 중요시하여 여호와의 거룩성을 부각시켜 여호와를 경외하게 만들려한다.
오경은 상당히 많은 시대착오를 범하고있다.(때를너무 일찍 측정한다.)예를들면 창세기36장31절은"이스라엘자손을 다스리는 왕이 있기전에 에돔땅을 다스리는 왕이이러하다"고 기록 한것이다. 그외의 시대착오 기사는 창세기 12장 6절,14절 에서도 발견된다.
3) 신명계(D문서)
기원전 7세기의 것으로 추정되며, 신명기(Deuteronomy)의 약어로, 주로 신명기에 수집된 법률과 관습을 담고 있다.
기원전 621년 요시아왕의 종교개혁 때 힐기야 제사장에 의해서 발견된 율법으로, 신명기는 이스라엘 종교의 경건을 크게 강조하고 있다.
제사는 한 곳 성소에서만 허락되어 있으며, 레위 지파에 속한 모든 남자들은 제사장이 되어 제단에서 봉사하도록 되어 있다.
D는 축복과 저주가 반복되는 역사관을 정립하였다.
즉 여호와의 명령을 순종하면 축복을 누리고, 불순종은 신의 저주를 가져온다는 것이다.
그 외에도 민족주의적인 신관, 인과응보적인 역사관, 합법적인 성소에서의 예배의식, 약자보호사상, 성민으로서의 행동규범, 선택사상, 계약사상이 나타난다.
저자가 모세 한사람이라면 그한사람이하나님의 이름을 여러가지로 사용할수있는지? 사실 오경에는하나님의이름이 여러가지로 표현된것을 알고있다. 출애굽기6장3절은"내가 아브라함과이삭과야곱에게하나님으로 나타났으나 나의이름을그들에게 알리지아니 하였다:라고 진술하고있다.그런데 창세기21장33절에의하면"아브라함은 브엘세바에서 에셀나무를심고 거기서 영생하시는 하나님 여호와의이름을 불렀다.라고되어있다.창세기1장1절부터2장41절까지에서 하나님이란 이름이 사용되었다가,두번째 창조기사에서는 갑자기 여호와하나님이란 이름이 나타난다.
4) 제관계(P문서)
기원전 600년에서 500년 사이에 기록된 문서이고, 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등 여러 곳에서 발견된다.
P자료는 바벨론 유수때 형성된 정체성 확립을 위한 신학으로, 이 문서는 제사장적인 성격을 가진 문서로서 주로 제사장에 관계되는 것, 족보 및 여호와의 위대함 등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이문서는 제사장들에 의해 작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레위기의 나머지 제사법과 5경의 나머지 역사 부분들을 포함한다.
분명한것은 오경이 여러문서를 짜깁기한 결과물이라는 것 이고, 그렇기 때문에 같은 사건이 엇갈리게 기록된것이라는점은 '진실'이다.
반면에 JEDP이론은 그 모순점을 설명하기 위해 제시된 '이론'이라는 점을 분명히 말해둔다.
오경은 모세가 그기사를 어떤 특별한 경우에만 기록 하였다고 스스로 언급하고있다.이는곧 그가 그기사를 낱낱이 다기록하지 않았다는것을 암시한다.
5)어떤 서술은 중복이나 복사라고 설명할수없는부분이 있다.예를들어창세기 32장28~30절에의하면 야곱의 이름이 브니엘에서 이스라엘로 바뀌어 졌는데, 창세기35장10~15절에의하면 벧엘에서 그렇게 바뀌어졌다는것이다.또 다음 본문을 서로 비교하면 더많이 그러한 사실을발견하게 된다.즉, 창세기21장31절과26장33절,창세기12장10~20절과20장1~18절,6장19절과7장2~3 절 등이다.
6)율법에 나타난 법규들은 사막을 방황하는 유목생활의 것이라고 보다는 정착생활의것임을반영한다(출22;5,25 23;10)
7)성전 법규의다양함을 들수있다.출애굽기20장24절에의하면 어디에서든지 제단을 쌓을수있는데 반하여신명기12장26절에의하면 제물은 반드시한곳에서만 하나님께 드려야 한다는것이다.
8)노예에대한 법규도 다양하게 나타나있다(출21;2~11 신15;12~18레25;39~55)
9)언어와 문체상의 차이가 많이나타나 있는데이를단순히 주제가 다르기때문에그런차이가 나타났다고는 생각할수가없다, 언약의산이 시내산이라고 불리는데 다른경우에는호렙산이라고불린다.모세의부친은루엘호밥 ,이드로등 여러가지로 불린다.예언자적 어세와 제사장적어세 두가지어세가 내포 되어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