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 보기
-
JEDP에 대하여주인장 낙서 2014. 3. 5. 14:39
출처 : http://blog.naver.com/ygkim12/100003129735 이런 것.. 도 있다..ㅋㅋ 오경을 구성하고 있는 4갈래의 전승으로써 자료비평은 성경의 형성사를 파악해나가는 방법이다. 1) 야훼계(J문서) 기원전 950년에서 850년 사이에 기록된 것(혹자는 기원전 10세기 경으로 주장)추정된다. 신을 야훼(Yahweh or Jahweh)라 부르며, 문체는 단순하면서도 박력이 있고 신인 동형론(신이 인격화되어 있다)으로 표현되었다. 이 문서는 주로 창세기와 출애굽기에서 발견된다. 문체는 단순하면서도 박력이 있고 신인 동형론(하나님이 마치 인간처럼 말씀하신점)을 잘 나타내어 주고 있다. 모세의사망기사가 직접 신명기34장1~12절에서 발견된다. 사실 모세가 자기자신의 사망기사를 썻다는것..
-
도움이 되는 신학 사이트주인장 낙서 2014. 3. 5. 14:37
오래된 링크라 끊긴 곳이 많지만. 버리긴 아까워 메모.... 도움이 되는 신학 사이트 * 출처 : 네이버 지식 답변에서.. http://www.virtualseminary.net/ 신학공부 http://www.newadvent.com/ 백과사전 http://ntgateway.com/multibib/ 성서학자료 http://www.hope-ind.com/Elpis/Elpis_home.htm 헬라어,히브리어 공부 http://www.blueletterbible.org/tmp_dir/c/1103597566-333.html#14 히브리어 공부 http://www.blueletterbible.org/cgi-bin/tools/printer-friendly.pl?ook=Gen&chapter=001&startv=1&e..
-
구약과 복음: 기독교 신앙을 위한 구약의 가치주인장 낙서 2014. 3. 5. 14:35
*우연히 검색하다 차 교수님 글이 나와서 올려 본다. 전필인 모세오경을 'F'받아 수업을 두번이나 받은 기억이 난다. 엄청 힘들게 배운 과목이지만.. 그만큼 기억에 남는 강의도 없었다는 생각이 든다. ----------------------------------------------------------------------------- 구약과 복음: 기독교 신앙을 위한 구약의 가치 차준희(한세대학교 교수) 1. 들어가는 말 구약성경은 기독교인에게 쉽게 이해되는 책은 아닌 것 같다. 흔히 기독교 정경의 첫 번째 부분인 구약은 두 번째 부분인 신약보다는 덜 중요한 책으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다. 심지어 구약성경이란 기독교에서 본질적으로는 필요하지 않고, 구약성경이 없이도 기독교 신학이 가능하다고 보는 편견..
-
누지 (Nuzi)주인장 낙서 2014. 3. 5. 14:35
누지 (Nuzi) 고세진 박사(이스라엘 예루살렘대학 성경고고학 교수) 누지(Nuzi)는 구약성경(특히 창세기)을 연구하는데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는 고고학 유적이다. 고대 메소포타미아에 있 던 도시 누지가 지금 이락크의 지도에는 북 이라크에 있는 키르쿡(Kirkuk)이라는 도시에서 남서쪽으로 13 km 정도 떨어져 있는 요르간 테페(Yorgan Tepe)로 표시되어 있다. 누지(요르간 테페)는 큰 언덕 하나와 작은 언덕들 여러개가 모여서 이루어진 고대 도시로써, 선사시대, 아카디안 시대, 후리안 시대, 파르티안 시대, 사싸니안 시대의 유물들이 매장되어 있다. 그런데 누지에서 발굴된 고고학 자료를 살펴 보면, 기원전 2천년대의 중반에 이 곳을 누지라고 불렀고, 이 시대의 자료들이 다 른 시대의 자료들..
-
성서 고고학적 12개의 수수께끼주인장 낙서 2014. 3. 5. 14:34
성서 고고학적 12개의 수수께끼 구리 두루마리: 보물은 어디에? 지금까지 발견된 사해사본들 중의 하나인 구리 두루마리에는 60가지 이상의 보물목록과 감춰진 장소가 기록되어 있다. 이 구리 두루마리는 1952년에 발견되었는데, 구리에 기록된 유일한 사본이다. 어쨌든 이 기록의 몇 구절은 아직까지 해석이 불가능하여 수수께끼로 남아있다. 이 보물들 중에는 무시할 수 없는 양의 금과 은이 포함되어 있다. 보물이 감춰진 장소에 대한 마지막 설명과 관련해서 이 구리 두루마리는 또 다른 두루마리를 언급하고 있는데, 그 기록에는 이 보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들어있다고 한다. 지금까지 이 목록에 기록되어 있는 보물 중에서 아무 것도 발견되지 않았다. 지금까지의 이런 상황이나 장소묘사의 부정확성 등으로 인해 많은 학자들..
-
최고의 구약필사본이 발견된 쿰란주인장 낙서 2014. 3. 5. 14:31
최고의 구약필사본이 발견된 쿰란 갈릴리호수에서 흘러나온 요단강이 광야를 적시고 도착하는 곳은 아무런 생물도 살지 않는 사해(死海)다. 해발 7백50m의 모리아산 위에 세워진 예루살렘에서 동쪽으로 기울어져 있는 길을 따라 내려가면 황량한 유대광야를 지나 사해를 만나게 된다. 예루살렘에서 35㎞거리, 사해는 유대광야를 끼고 지표밑으로 깊숙이 내려가 길게 뻗어 있다. 남북의 길이가 77㎞, 동서 최대의 폭이 16㎞, 면적은 9백65㎢로 갈릴리 호수의 6배다. 해저 4백20m, 코발트색의 바다 외에는 아무것도 살지 않는 주변, 사해는 말 그대로 죽음의 바다다. 사해는 요단강에서 매일 5백만t의 물을 받아들인다. 그러나 언제나 넘치지 않고 일정한 수면을 유지한다. 뜨거운 날씨로 인해 그만큼의 물이 수증기로 증발하..
-
하마와 베헤모트, 그리고 공룡주인장 낙서 2014. 3. 5. 14:30
출처 : http://winchurch.org/lee/creation/dino/behemo.htm 올바른 번역은? 외국의 신학자들은 한국 교회에 세계 유수의 신학교를 졸업한 석학들이 많고 학구열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현대인들이 이해도 못하고 오역 투성이의 고문체로된 성경에만 권위를 부여하는 한국 교회를 도무지 이해할 수 없다고 토로한 적이 있다고 한다. (김승태, C.C.C.편지 2000년 11월호, 11페이지.) "현대인들이 이해도 못하고 오역 투성이의 고문체로 된 성경"은 개역한글성경을 지적하고 하는 말인 것 같은데 절대 동감이다. 내가 개역성경을 처음 읽은 것이 25년 전, 지금까지 애독(?)하고 있지만 정말 난해하다. 그리고 오역도 많다. 우리가 보통 자주 쓰는 쉬운 현대어로 번역이 되었으면 좋겠..
-
구약성서에 나타난 신화적 짐승 리워야단, 라합, 용의 영상에 대한 번역적 고찰주인장 낙서 2014. 3. 5. 14:25
출처 : http://blog.naver.com/soslll/150000684438 구약성서에 나타난 신화적 짐승 리워야단, 라합, 용의 영상에 대한 번역적 고찰 김정우* 구약성서를 읽어 내려갈 때, 우리는 전혀 익숙하지 않은 이름들을 보며 “타자”(the Other)로서의 성서를 만나게 된다. 사실 구약성서는 지리적으로, 역사적으로, 문화적으로 볼 때 우리로부터 멀리 있다. 이 먼 거리감을 조금이라도 매우게 하는 것이 성서 번역자들의 임무이기도 하다. 그러나 성서의 세계관의 구조가 현대의 과학적인 구조와 다르다는 점을 잊어 버리게 될 때, 우리는 무리하게 현대인의 입맛에 맞추어 번역하는 시험을 받게 된다. 이 점에 있어서 구약성서에 나타나는 신화적인 짐승들의 영상에 대한 다양한 번역들을 고찰하는 것은 ..